강의개요 및 목적
- 기술의 발전이 어떻게 미술의 시각적, 조형적 방법에 상호작용성과 몰입감을 높이고 미술에 새로운 성격을 더하는지 이해한다.
- 미술과 테크놀로지의 결합이 가지는 의미를 발견하고 미래의 문화를 이끄는 소양을 기른다.
- 미디어아트에 널리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실습을 통해 기술을 활용하여 창작 활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.
교재 및 참고문헌
- 교재: 자체 제작
- 참고문헌: Generative Art: A Practical Guide Using Processing; The Nature of Code: Simulating Natural Systems with Processing; Form+Code in Design, Art,
강의진행방법
○ 강의 ○ 질의응답 ○ 실험실습 ○ 발표 및 토의
강의내용 및 일정
1 | 8/13~8/17 | 오리엔테이션 | 2/32 | 강의 내용 소개 평가 방법 안내 강의 진행 방법 안내 |
2 | 8/20~8/24 | 미술과 테크놀로지의 관계 ① | 4/32 | 미술의 진화 테크놀로지의 역할 |
3 | 8/27~8/31 | 미술과 테크놀로지의 관계 ② | 6/32 |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미술 작품 |
4 | 9/3~9/7 | 프로그래밍과 예술 | 8/32 | 알고리즘 프로그래밍으로 생각하기 프로그래밍과 예술 미디어아트를 위한 도구들 |
5 | 9/10~9/14 | 컴퓨터로 그리기 | 10/32 | 컴퓨터그래픽의 기초 프로세싱의 기초도형 그리기 |
6 | 9/17~9/21 | 반복과 변형의 활용 | 12/32 | 변수, 조건문, 반복 시간, 함수, 객체, 배열의 이해 |
7 | 9/24~9/28 | 외부 입력의 처리 | 14/32 | 데이터 입력 데이터 스트림 |
8 | 10/1~10/5 | 데이터 시각화 | 16/32 | 알고리즘 데이터의 시각화 |
9 | 10/8~10/12 | ▪중간고사 | 10/11~10/16(중간고사) | |
10 | 10/15~10/19 | ▪중간고사 | 10/11~10/16(중간고사) | |
11 | 10/22~10/26 | 기술과 창의성 | 18/32 | 기술과 창의성 생성예술 작품의 계획 |
12 | 10/29~11/2 | 움직임의 표현 | 20/32 | 애니메이션 동적인 그리기 |
13 | 11/5~11/9 | 자연의 모사 | 22/32 | 물리적인 시스템의 모형 만들기 |
14 | 11/12~11/16 | 인공지능의 응용 | 24/32 | 인공지능 인공생명과 유전알고리즘 |
15 | 11/19~11/23 | 시뮬레이션 | 26/32 | 시뮬레이션 기법상호작용의 구현 |
16 | 11/26~11/30 | 마무리 | 28/32 | 작품의 완성 |
17 | 12/3~12/7 | 발표와 감상 | 30/32 | 실습 결과 발표와 감상 |
18 | 12/10~12/14 | ▪기말고사 | 12/12~12/18(기말고사) | |
19 | 12/17~12/21 | ▪기말고사 | 12/12~12/18(기말고사) | |
20 | 12/24~12/28 | 미디어아트 동향 ① | 32/32 | 새로운 기술들 |
21 | 12/31~1/4 | 미디어아트 동향 ② | 32/32 | 관련 전시, 공연 |